안녕하세요,
아크릴 현판, 아크릴 명판,
자칭 LED 아크릴 사인
이라고 불리우는
간판을 제작하고 있는 마이너레이저입니다.
마이너레이저에서 제작하는
LED 아크릴 사인의 설치 형태는
크게 세 종류 입니다.
거치형과 행거형, 그리고 거치형의 응용 형태인 벽면부착형이 그것인데요,
스토어팜 구매시, 아래와 같이 옵션 사항중
설치하실 형태를 고르실 수 있습니다.
구매 페이지에 설치 형태와 설치 방법에 대한 내용을 더욱 자세하게
올려드리지 못해 사인을 받으시고서 설치에 어려움이 있으실 경우를 위해,
이번 포스팅 글을 쓰게 됐어요. ^^
하나하나씩 짚어보며 손쉬운 설치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
거치형 사인의
구성품과 설치 방법
① ㄴ자 꺽쇠 (혹은 아크릴 지지대)
스탠딩 형태의 아크릴 사인이
테이블에 튼튼히 서 있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테이블에 고정하실 수 있도록 ㄴ자 꺽쇠를 기본 구성품으로 드리고 있습니다.
▶프레임에 달린 꺽쇠의 아래 구멍 부분을 예상위치에 대고 테이블에 펜으로 마크하시고요,
표시된 위치를 4~5mm 드릴로 구멍을 내시고, 칼블럭을 넣어주신 후,
사인의 꺽쇠를 다시 위치한 뒤, 제공된 나사피스로 고정해주시면 됩니다.
아래 보시는 사진과 같이 ㄴ자 꺽쇠는 사인의 뒷부분에 고정되기 때문에 앞면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벽면에 피스로 부착을 원하시는 경우, 천정면에 바로 피스를 박으실 수 있도록 제작해드리고 있습니다. (주문단계에서 알려주셔야합니다)
▶ 바, 라운지, 펍, 카페 등 LED 아크릴 사인을 메뉴판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요청에 한해 아크릴 지지대를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이는 바닥면이 나사피스가 박히기 힘들거나 구멍을 내면 안되는 소재(대리석이나 기타 고가의 테이블 등)일 경우도 아크릴 다리부속을 적용가능합니다. 그냥 세우고 고정은 실리콘 등으로 하시면 되겠지요?)
▶ 사인의 형태가 세로로 긴 경우,
아크릴 지지대만으로는 파손의 위험이 많으므로 반드시 고려 사항을 체크하신 후 주문 부탁드리겠습니다.
②칼블럭과 나사, 전원 어댑터
※벽면 부착형의 구성품 및 설치 방법은 꺽쇠만 없을 뿐 프레임 양쪽의 구멍에 피스를 박는 박는 방식은 위에 설명드린 것과 동일합니다.
헹거형 사인의 구성품과 설치 방법
① 천정다보, 스틸 와이어, 칼블럭
▶헹거형 사인을 주문하시면 사인 양 끝단에 스틸와이어가 들어갈 수 있는 홀 두개를 뚫어드립니다.
천정에 고정하실 만큼의 와이어 길이를 미리 표시해놓으시고요, 아래 맨 우측 사진처럼 동봉 해드린 링을 끼우신 후에 펜치를 이용해 꽈악 다물어 주세요. 남은 와이어는 펜치로 잘라주세요.
▶ 스틸와이어의 끝부분에는 사진처럼 “천정 다보”가 연결됩니다. 석고 소재의 천정에 피스가 박히면 힘주면 바로 빠져버리기 때문에 석고용 피스(앙카)가 필요하시다면 미리 말씀해주시면 챙겨드릴게요!
천정 다보의 설치는 처음 보시는 분은 모르실수 있어 가급적 양쪽 중 한쪽은 가조립이 되있는 상태로 출고됩니다.
간단히 설명을 드리자면 와이어 연결 부분과 천정 쪽 나사 부분은 돌려 빠지게 되는데
2번 사진처럼 다보를 돌려 빼서 적당한 길이의 나사를 넣고 이걸 천정에 박습니다. (홀가공-> 앙카 또는 칼블럭 끼우기->전동드라이버로 나사 고정 순서)
그 다음 3번째 사진처럼 앞 부분을 돌려 완전히 빼지 마시고 5mm정도만 빼서 누르신 후 와이어를 넣으면 와이어가 적당히 들어갑니다.
이때 눌렀던걸 놓으면 내부의 스프링 때문에 안쪽 볼 베어링이 와이어를 잡게 됩니다. 볼베어링이 와이어를 잡는 힘은 잡아당기는 힘과 이론적으로 같기 때문에
와이어나 베어링이 파손될 정도의 무게나 힘이 아니라면 절대 끊어지지 않습니다.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의 3번 사진 부속과 천정에 고정 된 2번 부속을 돌려 끼워줍니다.
아! 와이어를 3번 사진 부속과 연결하시기 전에 와이어 길이는 적당히 니퍼로 끊어 주셔야겠죠?
그래도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은
천정다보 연결, 설치 등의 키워드로 유튜브 검색해보시면 제가 업로드해둔건 아니지만 다른 분들이 올려두신 자세한 영상들이 많이 나올거에요.
3 thoughts on “LED로 밝히는 디자인 간판 ③형태에 따른 설치방법”